본문 바로가기

나스닥6

미국 기술 성장주 미국 기술 성장주들은 금리인상(양적긴축)으로 인한 주가 하락시, 짧은기간에 하락하지만, 상승시(금리인하, 양적완화, 경기호황)에는 자주 급등하면서 올라가며, 하락기간보다 상승기간이 더욱 더 오래 지속된다. 이것이 미국기업들의 기술 성장주 사이클이다. 그러니 닥치고 존버하는자가 승리하게 된다. 2024년 3월 21일 지금 바닥을 지나가고 있다. 줍줍하는 시기. 골디락스. 2023년 1월부터 최소 2030년까지는 장기적으로 미국 기술 성장기업들의 성장기, 번영기를 맞이할 것이다. 지금 기준금리가 높다고 은행에 묻어두는 어리석음을 행하지 말라. ^^ 주위를 둘러보면 텐베거가 널려있다.(미국투자는 "심리"이고 "금리"이고 "존버"다.) 2024. 3. 21.
2023.04.06 히트맵 2023.04.06 히트맵 2023. 4. 7.
나스닥 2022년 싼타랠리는 없다. 미국 FED 금리인상 현재 4.5% -> 점도표상 향후 최종 최대금리 5.6%? 나스닥 2022년 싼타랠리는 없다. 2023년은 횡보장이다. 중국의 리오픈 시기가 계속 늦어지면 누구에게 생산품들을 팔아 소비할 것인가? 은퇴한 사람들을 메워줄 모자라는 노동자는 어떻게 충족할 것인가? 이민자 노동자를 더 늘려야 하나? 일론리스크는 본인 개인기업? 트위터를 살리기 위해, 지난 월화수 3일간 테슬라 주식 2,200만주(35억 8,000만달러(4조 7,000억원))를 팔았다. 캐시우드 돈나무 누나는 쓸어담았다. ^^;; 현재 테슬라 주가는 152.5달러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121587967 "안 판다더니"…머스크, 4조7000억어치 테슬라 주.. 2022. 12. 15.
미국 실업률이 4% 이상으로 상승하면, 미국주식 시장이 Uptrend로 전환된다. 현재는 인플레이션 시기의 연준의 빠른 금리인상 스탠스여서, 9월 실업률이 8월 3.7%대비 4%이상으로 상승하면, 금리인상 가속도가 늦춰지고 미국증시가 상승하게 된다. 9월 실업률 발표일은 10월 7일 금요일 21시 30분이다. 2022. 10. 4.
미국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하락으로 미국주식은 단기 상승하겠다. 현, 미국 연준이 빠른 가속도로 금리인상을 하고 있는 것은 9%이었던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함이며, 소비자물가지수를 2%로 낮추기 위한 조치이므로, 기업들의 고용이 줄어야 하고, 제조업들은 생산을 다소 줄여가야 한다. 그 척도로서 ISM 제조업구매자지수를 참고하는데, 제조업 생산을 다소 줄여야 하므로 제조업구매자지수는 예상치(컨센서스)보다 낮아야 연준의 금리인상 가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오늘 발표된 미국 ISM 제조업구매자지수가 예상치보다 줄었다. 즉, 생산이 줄어들어 다소 침체되는 상황이라는 표시이므로, 금리인상을 진행하고 있는 연준에게 금리인상 가속도를 늦추어도 된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결국.... 오늘 미국주식은 상승모멘텀으로 가게된다. 2022. 10. 3.
달러 하락 -> 애플 상승(09.27.22) 달러가 다소 하락되고, 9일 연속 하락 후 나스닥과 S&P는 기술적 반등하겠다. 09.27.22 : 다음 그림은 프리마켓 상황 2022.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