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 & Stocks/Economy Basic 365

[경제 상식 1] 세계 경제의 발원지, 수메르 문명

by GreatDragin.Kim 2025. 3. 17.
반응형

[경제 상식 1]
세계 경제의 발원지, 수메르 문명
-----

 

인류 역사상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낸 혁신적인 발명과 발견들이 많이 있었다. 그중 경제 역사적인 관점에서 가장 의미 있는 것들을 꼽으라면 먼저 인류에게 수(數) 개념을 인지하도록 해주고, 셈을 통해 경제활동을 가능하게 해준 숫자의 발명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서로 소통하고 기록을 남길 수 있게 해준 문자의 창조와 운송을 가능하게 하여 지역(나라)간 자유롭게 무역을 할 수 있게 해준 ‘바퀴’의 발명 등이 있다.


또한, 자연의 산물만을 소비하던 인류가 수렵·채취의 원시생활에서 벗어나 농사를 짓고 가축을 키우는 농경사회로 진화한 것 역시 인류 경제사에 매우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변화, 즉 숫자, 문자, 바퀴, 농경사회 등장 같은 인류 경제사의 혁신적 변화들이 모두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문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이다.


수메르 문명은 중국 황하 문명,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과 함께 인류 고대 4대 문명중 하나이다. 수메르 문명의 시작이 언제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고학자들은 여러 기록과 연구를 통해 BC 3500~BC 3000년에 이미 고도의 문명을 이루고 있었다고 추정한다. 또한 수메르 문명이 자리한 지역은 천연자원이 넉넉하지 않았기에 독립적인 생활을 하기보다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교역으로 필요한 물자를 확보했다. 이는 수메르인들이 이미 수요와 공급에 따른 가치 변화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그에 맞는 적정한 물건값을 산정해 국가와 부족 간에 경제 교류를 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고대 수메르 문명의 유물에서도 원시 공동체 사회와는 확연히 다른 경제생활의 흔적들을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BC 2500년경 수메르 라가시 왕조가 세금을 감면해주었다는 설형문자가 적힌 점토판이 출토되었다. 이는 당시에 이미 수메르 문명은 세금 조달을 통한 국가 형태의 조직을 갖추고 있었으며, 그에 맞는 경제 제도를 운용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약 5000년 전 등장했던 수메르 문명은 이처럼 인류 경제활동의 발원지로 세계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반응형

댓글